반응형 생활정보20 추석 차례상 제사 지방쓰는법 (조상, 부모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에 차례를 지내는 가정이라면 지방쓰는법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간단하게 추석 차례상 지방쓰는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여기서 '지방'이란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의미합니다. 보통 사당에서는 고인의 이름과 사망일자가 적힌 위패를 사용한다면, 가정에서는 조상을 모시기 위해 이를 임시로 종이에 기록한 것입니다. 지방의 크기 차례상에 놓는 지방은 길이 22cm, 폭 6cm의 백색의 한지 또는 창호지 등에 붓을 이용해서 한자로 쓰는 것이 정석입니다. 최근에는 한자 대신 한글로 쓰기도 합니다. 글자는 세로로 작성하며 지방의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는 것은 피해야합니다. 지방쓰는 순서 지방은 고인을 모신다는 한자를 쓴 후 1)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 2021. 9. 7. 추석 연휴 사회적 거리두기 모임 (가족모임 8인까지 가능) 안녕하세요 인생실무입니다. 오는 9월 6일부터 10월 3일까지 4주간 추석 연휴 대비 사회적 거리두기가 적용됩니다.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의 현행 거리두기는 그대로 유지하되, 일부 사적 모임 가능 인원을 완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백신 예방접종 완료자란?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 완료자는 지정된 예방 접종 권고 횟수를 모두 채우고 2주가 지난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차만 접종했거나 2차를 접종한 후에도 2주가 지나지 않으면 예방접종 완료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차 접종자 및 미접종자 등이 포함된 경우 이전과 동일하게 오후 6시 이후에는 2명만 모임을 가질 수 있습니다. 4단계 지역 유흥, 단란주점, 클럽, 감성주점, 무도장 등 유흥시설은 전과 동일하게 집합 금지 대상으로 영업이 불가합니.. 2021. 9. 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